[사설] 바다 망치는 해양쓰레기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바다를 망치는 해양 쓰레기 문제가 갈수록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지난 한 해 우리나라 곳곳에서 수거된 바다 쓰레기만 10만t에 달한다고 한다. 쓰레기가 늘어나는 속도마저 빨라져 4년 사이에 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게 해양쓰레기통합정보시스템의 모니터링 결과다. 부산만 따져 봐도 최근 5년 동안 해마다 6000t 이상의 바다 쓰레기를 건져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쓰레기는 대부분 연안에 인접한 육지에서 주민들이 버린 생활용품이거나 선박종사자들이 선박에서 사용한 물품이나 어구 등을 바다에 방치한 것들이다. 수거한 6000t 외에 바다에 방치된 쓰레기까지 다 따지면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 짐작조차 하기 힘들다.

해양 쓰레기가 늘어나는 것과 비례해 해양오염, 선박 손상, 어구 훼손, 야생동물의 희생 등 그 피해가 덩달아 증가세를 보이는 건 피할 수 없는 대가다. 폐그물, 통발, 밧줄에서부터 낚싯줄이나 낚시 추에 이르는 폐어구의 폐해는 특히 심각한 실정이다. 해군 함정조차 프로펠러가 이들에 걸려 피해를 볼 정도로 해양사고의 주범으로 꼽힌다. 이에 따른 수산업 피해 역시 무시 못 할 정도로 커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부산 지역 모든 어선의 피해 어구 교체 비용이 연간 35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 연근해에 매년 4만 4000t이나 발생하는 폐어구는 수산자원까지 고갈시키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이렇듯 쌓이는데 이를 수거하는 일에만 매달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제는 쓰레기 유입 자체를 줄이는 예방 위주의 통합관리 정책으로 가야 한다. 부산은 강과 바다를 동시에 보유한 해양수산의 중심지인 만큼 종국에는 육상폐기물 관리와 해양환경 관리를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게 옳다고 본다. 먼저 부산시 연안의 해양 쓰레기 규모, 유입량, 피해 영향 등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와 쓰레기 발생원에 대한 중점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 건 물론이다. 중앙정부나 다른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체제 구축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