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 하루 전,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제목. 코로나19 인권영화제: 누구도 남겨두지 않는다. 이미지 클릭 시 영화제 웹페이지로 이동.
2020.7.2.~19. 온라인 무료 상영
라이브토크 1부 7.10. 20시 / 2부 7.11. 15시
개막 D-1!
서울인권영화제의 첫 온라인 영화제 "코로나19 인권영화제: 누구도 남겨두지 않는다"의 개막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광장에서의 힘찬 개막식은 없겠지만, 온라인으로 뜨겁게 마주할 준비 되셨나요?🙌
🤝어떻게 함께 할 수 있나요?
▪︎ 코로나19 인권영화제는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 주소 www.covid19shrff.org 로 접속!
▪︎ 기간 2020년 7월 2일 ~ 7월 19일 
▪︎ 라이브토크 7월 10일 20시, 7월 11일 15시 
▪︎ 앙코르상영 7월 12일 ~ 19일 

영화 보는 방법 
▪︎ 매일 오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상영 
▪︎ www.covid19shrff.org 에 접속하여 24시간 동안 자유롭게 재생 가능! 
▪︎ 별도의 회원가입, 로그인 없이 무료 관람 
▪︎ 모든 영화에는 한국어자막해설과 한국수어통역영상이 있습니다
▪︎상영시간표를 확인해보세요!

라이브토크 참여 방법 
▪︎1부 7월 10일 20시,  2부 7월 11일 15시 
▪︎ www.covid19shrff.org 접속, 라이브토크 참여 클릭 
▪︎ 유튜브 “연분홍TV” 접속
🤝어떤 영화를 보아야 할까요?
장애여성공감 활동가 여름이 건네는 영화
<문 밖으로: 자유를 위한 투쟁> 
7월 2일, 여는 영화로 상영됩니다
  “그냥 단순한 일이 왜 이렇게 힘든거죠?”
  틴스코이 장애인 수용시설에 살고 있는 거주인들이 묻는다. 왜 자유를 누릴 수 없는지.
  가족과 함께 살던 곳을 떠나 수용시설에서 살게 된 이유는 제각각일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더 나은 삶을 기대했을 것이다. 그 꿈은 무참히 짓밟힌다. 시민권을 박탈당한 채 시설 안에서 통제된 삶을 살아간다. 반복적으로 돌아가는 집단생활은 거주인들의 생기를 잃게 한다. 그럼에도 독립적인 삶을 위해 거주인들이 자신의 시민권 회복을 요구하는 활동은 멈추지 않는다. 탈시설은 선택이 아닌 모든 인간이 누려야 할 기본 권리라는 것을 그들을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시설에서의 삶이 모두 비극인 것은 아니다. 울고 웃으며 그 시간을 함께 견딘 친구들을 만난 곳이다. 작별 인사로 끝이 아닌 사이. 삶이 있고 관계가 쌓인 그 시간들을 기억하며 탈시설 이후의 삶 또한 이어지기를 기대하게 된다.

 [문 밖으로: 자유를 위한 투쟁 스틸컷] 카쨔가 커튼 오른편에 서있다. 그는 입을 굳게 다물고 얼굴을 왼쪽으로 돌려 한 쪽을 바라보고 있다.
건강과대안 활동가 변혜진이 건네는 영화
<컨베이어 벨트 위의 건강> 
7월 3일 상영됩니다
  영화 <컨베이어 벨트 위의 건강>은 유럽 국가들이 코로나19 치료 대응 과정에서 경험해야 했던 ‘의료 붕괴’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영화다.
  지난 60여 년 동안 유럽 국가들의 자부심이기도 했던 공공의료 서비스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에 포섭되면서 ‘비용 절감’ 과 ‘경쟁’ 이라는 효율성에 내몰렸다. 어떤 치료가 필요한가보다 얼마나 돈을 낼 수 있는 사람인가가 더 중요해졌다. 사회연대와 평등성에 기반 한 원칙은 배타성과 선택권이라는 시장주의 가치로 변화되었다.
  우리는 지금 코로나19 앞에 퍠퇴한 자본주의 하의 각국 의료제도의 취약성을 마주하고 있다. 코로나19는 구매력 차이에 따른 선택권이 보장되는 감염병이 아니다. 그러나 자본주의 경제 논리로 차별당하는 이들이 더 많이 더 자주 감염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뼈아프게 드러나고 있다. 공공의료는 자본주의 사회의 견고한 차별적인 감염 경로 그 마지막을 버티고 서 있는 최후의 보루와 같다. 이 최후 보루마저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위치돼 있는 한국에서 영화 <컨베이어 벨트 위의 건강>은 생명을 위한 치료과정을 이윤 추구를 위한 상품 생산 공장으로 바꾸려 하는 이들에게 주는 경고장과 같은 영화다.

 [컨베이어 벨트 위의 건강 스틸컷] 환자복을 입은 사람들이 누워 있는 두 컨베이어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 오른 쪽에는 한 사람이 공중에 매달려 있다.
진보네트워크센터 활동가 민이 건네는 영화 
<(테)에러>
7월 4일 상영됩니다
  아무래도 "테러" 또는 "국가안보" 라는 틀에 맞춰 각국의 정보기관을 찍어내는 공장이 있는 게 분명합니다. 아니면 정보기관의 사건 조작을 위한 필독 교과서나, 테드 강연 영상 또는 숨겨진 유튜브 강좌 채널이라도 있다든가요. 혹은 어쩌면 각국의 정보기관이 이 영화 <(테)에러>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아 사건 조작 방법론을 공부해 써먹고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미국 FBI가 연출하는 "적당한 시민을 테러리스트로 몰아가기!" 와 한국 국가정보원이 연출하는 "적당한 시민을 북한 추종 간첩 어쩌구로 몰아가기!" 가 이렇게까지 닮을 수는 없습니다. 영화에 나오는 FBI 자리에 국정원을 넣고, 테러리스트라는 말을 종북 간첩이라는 말로 대체하면? 이럴 수가, 불과 작년까지 한국에서 벌어졌던 일과 거의 똑같습니다.
  본 영화 관람 전 또는 관람 후, 인터넷에 '국정원 프락치 공작 사건'을 검색해 그 내용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정보기관의 거미줄 같은 감시망에서 연출되고 만들어지는 가짜 테러 사건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니까요.

[(테)에러 스틸컷] 지도 위에 두 장의 얼굴 사진이 붙어 있다. 모자를 쓴 사람이 한 장의 사진에 손을 대고 있다.

[그림] 눈을 동그랗게 뜬 새싹 캐릭터 위로 텍스트 "후원으로 여러분의 활동을 이어주세요!"
서울인권영화제는 인권영화로 소통하고 연대하는 인권단체입니다.
서울인권영화제는 정부와 기업의 후원 없이 오롯이 후원활동가의 후원으로 자라납니다. 

서울인권영화제
hrffseoul@gmail.com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독립문로8안길 5-5 02-313-2407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