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안 침식 대응 '토사 종합 관리 시스템' 필요해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태풍이 부산의 해안을 할퀴고 사라지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백사장이 움푹 패어 나가면서 모래를 복원하는 게 해마다 되풀이되는 고민이었다. 최근 부산을 통과한 제25호 태풍 콩레이는 임랑해수욕장의 백사장을 불과 10m도 채 남겨 놓지 않을 정도로 모래를 휩쓸어갔다. 부산의 7개 해수욕장은 태풍이 지나갈 때마다 '모래 유실'을 겪었는데, 본보 기획물의 제목처럼 '난개발의 그늘, 해안의 역습'을 여실히 입증했다.

국내를 넘어 세계에 자랑할 만한 해수욕장으로 자리매김한 해운대해수욕장만 하더라도 '모래 유실-모래 복원'을 되풀이하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에 속한다. 1965년 정식으로 개장한 해운대해수욕장은 백사장 폭이 절반 가까이 줄자 개장 50주년을 맞아 2015년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한 바 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2012년 11월부터 총사업비 435억 원을 들여 63빌딩을 가득 채우고도 남을 15t 화물차 5만 9000대 분량의 모래를 쏟아부어 40m까지 쪼그라들었던 백사장 폭을 100m로 늘렸다.

해안 침식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선진 외국의 모범 사례를 우리의 현실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높은 파도의 내습으로 해안선이 후퇴하는 현상을 세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하지만 해안 침식은 지역별로 다양한 원인에 따라 발생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 파악이 우선이라는 데 한목소리를 낸다.

가까운 일본은 1954년 제정된 해안법을 근거로 정부가 모래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해안 침식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토교통성이 산지에서 해안까지 토사 이동 전체를 파악하는 '토사 종합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 아닐 수 없다. 해운대해수욕장처럼 침식 지역에 모래만 붓는 단기적인 대책이 아니라 토사량과 이동 경로 등을 추적해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부산도 부산 실정에 맞는 종합적인 토사 관리 대책 마련을 서두를 때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