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이준석 #이대상권 #건설폐기물 #시사인

[오늘 나온 시사IN]  2021-08-07 #726

정기독자만의 특권, 주말 오후 <시사IN> 최신호를 읽는 여유를 누려보세요 
송영길 vs 이준석

'후보의 시간'이 임박하면 당 대표는 '조연'이 되기 십상입니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은 조금 다릅니다. 당내 주류와는 다른 목소리를 내온 덕분에 각각 여야 당 대표로 선출됐기 때문입니다.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할 유능함이 중요하다"는 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2022 대선의 최대 변수는 세대 간 결합이라는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두 야심만만한 당 대표의 '대선 플랜'을 직접 만나 들어보았습니다.
         -김동인/문상현 기자  
        


흔히 '이대 앞'이라 불리는 이화여대 앞 거리는 코로나19 이후 폐업한 가게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입니다. 이대 앞 200m 거리를 따라 형성된 190개 가게의 영업 상태를 살핀 뒤 휴업 또는 폐업 중인 가게를 따로 표시하는 '폐업 지도'를 그려보았습니다.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플라스틱, 비닐 같은 생활쓰레기를 배출하면서 마음 불편한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혹시 알고 계신가요? 생활쓰레기보다 훨씬 심각한 것이 재건축, 재개발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이라는 사실을요. 
더 놀라운 것은, 조금만 신경쓰면 이들 건설폐기물을 100%에 가깝게 재활용할 수 있다는 업계 설명입니다. 그런데도 왜 우리 국토는 산처럼 쌓인 건설폐기물로 멍들어가고 있는 걸까요? 

여론조사가 여론을 만들기도 한다. 쏟아지는 여론조사에 속지 않는 법. -김은지 기자

여럿이 공동생활하는 생활치료센터보다 자가치료가 효과적이라는데...  -나경희 기자


미얀마 Z세대는 군부뿐 아니라 아웅산 수치의 권위주의와도 거리를 둔다. -이유경

청소 일을 하는 20대 디자이너는 "무슨 일 하세요?"라는 질문 앞에 당황한다. -박성표

편집국장의 편지
  
 윤석열의 정체성 혼란
 
올해 ‘여름의 인물’은 단연 윤석열 전 검찰총장입니다. 하루도 거르지 않는 ‘깜짝’ 발언들의 연발로 델타 변이 확산 국면의 시름을 달래주셨습니다. 특히 ‘소비자 보호’ 문제에 대한 말씀은 가히 인상적입니다. “없는 사람은 부정식품이라도 먹을 수 있도록 선택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저서 〈선택할 자유〉에서 인용했다고 합니다. 그는 2019년 청문회 때도 ‘가치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책’으로 〈선택할 자유〉를 꼽으며 “(사회의) 점진적 변화 중시”를 자신의 정치적 성향으로 밝혔지요. 저 같은 사람은 ‘프리드먼’ 하면 윤석열, ‘윤석열’ 하면 프리드먼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드먼과 ‘점진적 변화’를 함께 이야기해도 되는 걸까요? 프리드먼은 자동차의 ‘안전장치 의무화’를 반대한 사람입니다. ‘없는 사람은 안전장치 없는 값싼 차량이라도 살 수 있도록 선택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었죠. 그는 식품·의약품 등을 관리·규제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존립에도 몹시 부정적이었습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이나 능력을 국가로부터 인증받아야 의사나 변호사로 돈 벌 수 있는 ‘면허제도’ 폐지를 주장했습니다. 국가가 개인이 직업을 ‘선택할 자유’를 가로막으면 안 되니까요. 

이런 ‘소비자 보호’ 규제들이 폐지되면 자동차 사고나 의약품 부작용 등으로 인명 피해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의료기술 없는 사람이 환자를 진료할 수 있게 되어 병을 더 키우거나 멀쩡한 사람을 저세상으로 보내는 일도 잦을 겁니다. 그러나 이런 문제 또한 장기적으론 괜찮다(?)고 합니다. 불량하거나 부정한 재화·서비스의 공급자들은 점차 수익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에서 퇴출될 테니까요. 프리드먼은 소비자 보호 규제 같은 정부 개입이 아니라 기업의 수익 동기와 소비자 선택의 자유를 확실히 보장하는 것을 번영의 길이라고 믿었습니다. 

이런 프리드먼의 사상이 옳은지 그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20세기 중반 이후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의 사회·경제 시스템에는 마르크스주의나 레닌주의보다 훨씬 위협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 비중이 엄청난 ‘자본주의-민주주의’ 시스템에서 소비자 보호 등 ‘국가의 역할’을 제거하자는 것은 절대 ‘점진적 변화’가 아닙니다. 과격한 급진주의지요.

일부 언론에서 윤 전 총장이 인용했다는 문구가 〈선택할 자유〉에 나오지 않는다고 보도했습니다. 그가 이 책을 실제로 읽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의 발언이 프리드먼의 논지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윤석열 전 총장님, 당신은 심각한 정체성 혼란을 겪고 계십니다. 프리드먼의 반(反)국가주의적 논지를 응용할 만한 능력자라면 ‘점진적 변화를 믿는 보수’보다는 ‘과격한 급진파’ 쪽에 훨씬 가까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편집국장 이 종 태 

주말 오후, 시사IN 홈페이지에서 갓 나온 최신호 기사를 느긋하게 열람해 보세요.

전자책 구독자 또한 전용 앱 또는 <시사IN>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호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단, 홈페이지 기사 열람은 <시사IN> 홈페이지에서 전자책 정기구독(단권 구매자는 불가)을 신청한 분만 가능하니 꼭 기억해주세요. 애플/안드로이드 앱에서의 구매 정보는 타인이 확인할 수 없어서인 만큼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애플/안드로이드 앱 구매자는 전용 앱으로 최신호를 열람해주시길요. 

✏️종이책 독자는 시사IN 홈페이지 회원가입시 구독자 인증을 하시면 시사IN 홈페이지에서 최신호 기사를 무료로 열람할 있습니다. 아직 구독 전이라면 여기를 클릭하시고요.
📂전자책 독자는 전용 앱으로 토요일부터 최신호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미얀마 기자들은 보도를 계속하기 위해 안전한 곳으로 도망쳐야 했습니다."

미얀마 기자들이 보내온 항쟁의 기록.
언론의 위기는 곧 민주주의의 위기입니다. 미얀마 쿠데타 이후, 아시아 민주주의를 둘러싸고 새롭게 커져가는 고민과 경험을 나누고자 합니다.
'기성세대에 의한 착취'와 '여성에 의한 착취'가 동시에 쏟아진다고 느끼는 이들이 뭉쳤다.

이 책을 읽고 우리사회의 ‘20대 남자 현상’을 완전히 이해하게 됐다고 얘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저자들이 제시한 가설 중 틀린 것으로 판명이 나는 것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난 독자라면 최소한 20대 남자들이 집단적인 피해의식이나 ‘여성 혐오’에 사로잡혀 젠더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식의 표피적인 담론은 넘어설 수 있을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이번호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시사IN> 기자들에게 하고 싶은 얘기를 남겨주셔도 좋습니다🙆🙇‍♂💙

[오늘 나온 시사IN] 뉴스레터를 아직 구독하기 전이라면 여기

💬 받은 이메일이 스팸으로 가지 않도록 이메일 주소록에 editor@sisain.co.kr을 등록해주세요.  
수신거부 원한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주)참언론
editor@sisain.co.kr
카톨릭출판사 빌딩 신관3층 0237003200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