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흙속에 남아있는 살충제 DDT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작년 검출지역 등 150곳 토양 조사… 환경부 “극소량… 인체 영향 미미”


1970년대 사용이 중지된 살충제 DDT가 40년이 지나서도 흙에서 검출됐다. 환경부는 검출된 DDT가 극소량이어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전국 농경지 토양 측정망 가운데 110개 지점과 지난해 DDT가 검출된 경북 경산·영천시 40개 지점 농경지에서 실시한 농약성분 실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사용이 금지된 DDT 등 유기염소계 농약 15종과 지난해 계란 생산용 닭을 키우는 농장에서 검출된 살충제 5종이 흙에 얼마나 남아있는지 알아보는 조사였다.

조사 결과 DDT는 최고 2.2㎎/㎏ 농도로 검출됐다. 평균 검출농도는 0.023㎎/㎏이었다. 환경부는 “최고 검출농도 2.2㎎/㎏은 국내 일일섭취허용량의 2500분의 1에서 4800분의 1 수준으로 인체 영향은 미미하다”고 밝혔다. 150개 지점 가운데 2곳에서는 캐나다 환경장관위원회가 농경지 기준으로 제시하는 0.7㎎/㎏을 초과했다. 환경부는 이에 대해서도 “해당 2곳에서 생산한 농산물에서는 DDT가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DDT는 국내에서 1971년 농약 허가가 취소되고 1979년부터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여전히 검출되는 건 이 물질이 그만큼 잘 분해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DDT는 흙에서 10분의 1로 분해되는 데 약 5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DDT는 1939년 개발돼 농업에 많이 사용됐으나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밝혀져 1970년대 이후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 금지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달걀과 닭, 토양에서 DDT가 검출된 일을 계기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토양 시료 채취 장소 주변 62곳 지하수를 대상으로도 진행했으나 지하수에서는 DDT가 검출되지 않았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네이버 메인에서 채널 구독하기] [페이스북]
[취재대행소 왱!(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