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뉴스 #미디어바우처 #싱가포르방역

[오늘 나온 시사IN]  2021-07-10 #722

정기독자만의 특권, 주말 오후 <시사IN> 최신호를 읽는 여유를 누려보세요 
언론사에 투표하라고?

한국만큼 포털이 뉴스 환경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나라는 사실상 없습니다. 포털 영향이 커질수록 레거시 미디어는 참담한 수준으로 쇠락중입니다. 
더 큰 문제는 취재에 공들이는 매체일수록 경영난을 겪을 우려가 커졌다는 사실이죠. 포털은 자극적 기사로 조회수를 늘리는 언론에 유리하게 설계돼 있으니까요. 이에 새로운 대안들이 등장하는 중입니다. 국민들에게 후원 쿠폰을 나눠준 뒤 내가 원하는 언론사를 응원하게 해주자는 '미디어 바우처법'  등이 그것인데요. 이게 과연 가능할까요? 
         이상원 기자  
        

최근 '싱가포르 방역 포기'라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단 기사들이 국내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 퍼졌습니다. 싱가포르 정부가 대규모 확진자 동선 파악, 검사, 격리, 집단 검사 등에 초점을 맞춘 기존 방역 방식을 포기하고 새로운 방역 태세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한 것을 잘못 해석한 데서 빚어진 해프닝이었는데요.
싱가포르는 어떤 맥락에서 이런 방역 태세 전환을 결정할 수 있었던 걸까요?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김성훈 교수가 특별 기고문을 보내왔습니다.

시민운동에 오래 몸 담았고 녹색당을 만드는 데 참여했던 하승수 변호사가 15년만에 다시 변호사 개업을 선언했습니다. 귀촌해 살고 있던 충남 홍성의 한 컨테이너 박스에 변호사 사무실도 차렸다고 합니다. 농촌, 농민, 농업을 위한 공익법률센터 '농본'이 그것인데요.
'농본'이 맨 처음 주목한 것은 농촌에 널려 있는 폐기물 처리장입니다. 매립장 사업이 엄청난 돈이 되다 보니 온갖 폐기물 업체들이 농촌으로 밀려 들어가고 있다는 것인데...  

'강성 친문'을 제외한 여권 전체를 흡수하겠다는 그의 야망은 실현 가능할까. -문상현 기자

싸이월드 세대인 기자가 ' Z세대의 놀이터'라는 '제페토'를 체험해 보았다. -김다은 기자


새끼 고라니에서 황조롱이까지, 야생동물구조센터의 1박2일을 들여다보니... –주하은 기자

원치 않는 사람에게 전송하는 성기 사진은 음란물인가, 성폭력인가? -김진경

편집국장의 편지
  
 '내심'을 잡아내는 보도
 
여론조사 관련 보도들을 읽다 보면 댓글난에서 종종 한국 사회의 낮은 신뢰도를 실감하게 됩니다. 해당 언론의 입맛에 맞춰 조사 결과를 유도했다거나 심지어 ‘조작’이라고 반발하는 의견들이 꽤 많습니다. 그러나 아주 드문 악질적인 사례를 제외하면 여론조사의 타당성이 현실에서 완전히 부인되는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저만 해도 다수의 여론조사 결과를 나름의 방식으로 종합하며 ‘어두운 방에서 코끼리 만지기’ 식으로나마 ‘물밑의 트렌드’를 대충 짐작해나가는 편입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여론조사라는 것을 꽤 신뢰합니다. 게다가 지난 수년에 걸쳐 조사기관들이 ‘데이터 분석’ 기법들을 채택·활용한 성과들을 보면서 믿음이 더욱 강해졌습니다.

최근 여론조사들은 단지 응답자의 외형적 답변만으로 결과를 내는 방식을 훌쩍 넘어섭니다. 심지어 시민들이 좀처럼 표현하지 않는 ‘내심’을 잡아내기까지 합니다. IT 기술이 시민의 일상 속으로 깊숙이 침투하면서 수집 가능한 데이터가 엄청나게 늘어났을 뿐 아니라 컴퓨터 연산능력의 발전 덕분에 과거엔 불가능하거나 오랜 시간이 걸렸던 추정 과정이 삽시간에 완료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SNS에 뜨는 ‘맞춤형 광고’를 보면서 ‘이 광고를 추천한 AI는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군’ 하며 놀라곤 합니다.

앞으로 8개월여 뒤에 실시되는 제20대 대통령 선거는 정치권은 물론 매체에도 중요한 행사입니다. 저는 정치인들이 반드시 ‘국가와 민족을 위한 큰 뜻’을 정책으로 실현하기 위해 대통령이 되려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거꾸로, 대통령이 되기 위해 시민들의 인기를 끌 만한 정책을 내놓는 것으로 보는 쪽이 정확하지 않을까요. 이타적 의도가 다른 사람들을 반드시 이롭게 하지는 않으며, 각 개인들의 이기적 동기가 사회·경제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동력인 이 나라에서 정치인에게만 ‘그러지 말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다만 출마 의도와 상관없이 해당 정치인의 정책이 시민들의 바람과 욕망을 잘 반영해서 공익 확장에 기여하고 실현 가능하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선거를 앞둔 기간에 언론이 해야 할 일이 고작 겉으로는 ‘정치적 중립’을 내걸고 속으로는 지지 후보를 위해 보도하는 정도는 아닐 것입니다. 이보다는 시민들이 겉으로 잘 표현하지 않는 바람과 욕망과 의도를 드러내 이를 반영하기 위한 정책 경쟁을 부추기는 쪽으로 가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보도 방향을 데이터 분석과 어떻게 결합시킬 수 있을지 고심 중입니다. 독자 여러분이 만족하실 만한 ‘정치 기사’를 풍성하게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편집국장 이 종 태 

주말 오후, 시사IN 홈페이지에서 갓 나온 최신호 기사를 느긋하게 열람해 보세요.

전자책 구독자 또한 전용 앱 또는 <시사IN>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호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단, 홈페이지 기사 열람은 <시사IN> 홈페이지에서 전자책 정기구독(단권 구매자는 불가)을 신청한 분만 가능하니 꼭 기억해주세요. 애플/안드로이드 앱에서의 구매 정보는 타인이 확인할 수 없어서인 만큼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애플/안드로이드 앱 구매자는 전용 앱으로 최신호를 열람해주시길요. 

✏️종이책 독자는 시사IN 홈페이지 회원가입시 구독자 인증을 하시면 시사IN 홈페이지에서 최신호 기사를 무료로 열람할 있습니다. 아직 구독 전이라면 여기를 클릭하시고요.
📂전자책 독자는 전용 앱으로 토요일부터 최신호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외롭지 않을 권리'가 있다 


아무런 법적 권리가 없는 동거, 그리고 높은 장벽의 혼인. 이 두 가지 선택지면 충분할까? 원하는 사람과 행복한 삶을 꾸릴 권리를 꼭 혈연이나 결혼으로 보증 받아야 할까?

'정상 가족'이 한계점에 이른 오늘, 새로운 대안이 될 '생활동반자 관계'를 상상한다. 


이번호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시사IN> 기자들에게 하고 싶은 얘기를 남겨주셔도 좋습니다🙆🙇‍♂💙

[오늘 나온 시사IN] 뉴스레터를 아직 구독하기 전이라면 여기

💬 받은 이메일이 스팸으로 가지 않도록 이메일 주소록에 editor@sisain.co.kr을 등록해주세요.  
수신거부 원한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주)참언론
editor@sisain.co.kr
카톨릭출판사 빌딩 신관3층 0237003200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