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중화 시대를 바라보는 VC의 시각은?
WeeklyEDGE 
한 주간 주목했던 글로벌 테크 & 스타트업 소식을 전합니다
OpenAI의 플랫폼 헤게모니
OpenAI의 ChatGPT가 AI 서비스의 대중화 시대를 열었지만 막상 벤처투자자들은 아직까지 신중한 모습

지난 주, 컨텐츠 큐레이팅 사이트로 유명한 버즈피드의 주가가 일주일만에 4배 가량 상승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앞으로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OpenAI의 인공지능을 사용하겠다는 발표, 그리고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와 크리에이터 팔로워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파트너쉽을 체결하였다는 뉴스에 시장이 반응한 것입니다. 메타와의 계약 규모는 약 120억 원($10 million) 정도로 알려졌습니다.

버즈피드의 주가 폭등은 현재 OpenAI의 ChatGPT를 둘러싼 시장의 관심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120억 원 규모 계약으로 시가총액이 4천억 원 넘게 상승하였으니 또다른 버블의 전조인지도 모릅니다. 이미 한국에서도 주가 조작의 테마에 OpenAI가 등장한 모습입니다. 
스팩상장 이후 주가가 95% 하락했던 버즈피드 - OpenAI 테마로 주가 폭등 중
하지만 정작 OpenAI가 탄생한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탈들은 아직까지 상황을 관망하는 모습입니다. 불과 1 - 2년 전 크립토, Web3, 메타버스 테마에 편승하고자 매주 투자를 집행하던 열기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OpenAI를 제외하고는 몇 건의 대형 투자 논의 소식이 들려오지만 이미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기업의 팔로우온 성격이 강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혁신의 역설'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OpenAI의 ChatGPT가 일으킨 반향이 워낙 커 아직까지 그 영향력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데이터 확보를 위해 개발자들에게 GPT-3 엔진을 제공해왔던 OpenAI가 돌연 직접 제품을 출시하는 전략으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GPT-3를 활용해 제품을 서비스해왔던 많은 AI 스타트업들이 고객 이탈을 경험하고 있다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더욱 많은 고민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어떤 의미인가?

OpenAI의 초거대 언어모델 GPT-3를 기반으로 마케팅 문구 및 블로그 자동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던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스타트업 JasperAI2021년 2월 서비스 출시 이후 불과 1년 반 만에 연환산 매출(ARR)이 천 억 원에 가깝게 성장한 AI 분야의 선도 기업입니다. 특히 지난 10월에는 Insight Partners, Coatue, Bessemer, IVP 등 유명 VC들이 라운드에 참여하며 무려 2조 원에 가까운 기업가치로 시리즈A를 완료한 바 있습니다.
시리즈A 단계에서 단숨에 유니콘에 등극한 JasperAI
문제는 대규모 시리즈A를 유치한 지 한달만에 OpenAI가 ChatGPT를 출시하자 고객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JasperAI는 한 달 평균 80달러에 가까운 과금 체계를 유지해왔는데 ChatGPT가 무료로 제공되면서 더이상 JasperAI의 서비스에 가치를 느끼기 어렵다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JasperAI] 다양한 템플릿과 자동화가 강점이나 사용자의 자유도는 낮은 일반적인 SaaS 서비스에 가까움
[ChatGPT] 직관적인 UI가 강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무료라는 점에서 채팅앱만큼 강력한 바이럴에 성공
이러한 '플랫폼 - OpenAI'와 '어플리케이션 - JasperAI'의 역학관계는 아이폰 OS와 이를 활용한 앱의 관계에 가깝다는 평가입니다. 아이폰 출시 초기에는 부족한 노트앱 기능을 보완하는 '에버노트'가 인기를 끌었는데 애플이 노트 기능을 강화하면서 순식간에 시장 지위를 잃은 것과 같은 논리인 것이죠. 문제는 OpenAI의 고객 확보 속도가 너무 빠르고, 앞으로 넓혀나갈 서비스의 범위 또한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JasperAI 사용자 리뷰 - 처음에는 만족했으나 UI가 혼란스럽고 과금체계가 복잡해 ChatGPT 대비 경쟁력이 없음
아이폰 등장 초기에도 캐주얼 게임을 만들어 하루에 1억 원씩 매출을 올리던 인디 개발자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있었습니다. 현재는 LensaAI와 같이 프로필 사진을 아바타로 변환해주는 서비스의 매출이 급등하기도 하였습니다. 프로덕트 빌더의 입장에서는 엄청난 기회이지만 '제품의 바이럴'만큼 '회사의 영속성'을 고민해야 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고민이 깊어지는 시점인 것입니다.
한 걸음 더 들어가보면...

안데르센호로위츠(a16z)가 1월 19일 블로그에 게시한 '생성AI 플랫폼은 누구 몫인가?'라는 글에서는 이러한 고민이 잘 드러납니다. 현재 '생성AI' 서비스의 산업 밸류체인을 나눠보면

  1. JasperAI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2. OpenAI와 같은 초거대모델 운영사, 그리고
  3. 이를 뒷받침하는 클라우드 및 GPU 등 인프라

세 단계로 나눠볼 수 있으며, 다들 나름의 고민을 안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현재까지 대부분의 파이는 사실 세 번째인 인프라 사업자들의 몫으로 귀결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a16z가 분석한 '생성AI'의 밸류체인 프레임워크 (링크 🖱️)
첫 번째, 어플리케이션의 '글쓰기 자동화', '이미지 생성', '코드 작성' 분야에서 이미 천억 원 대 매출을 기록한 기업이 등장할 정도로 서비스 성장 속도가 빠르지만 JasperAI의 사례처럼 모델 기업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업을 확장하자 고객 이탈율이 높아지는 등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이번 ChatGPT의 사례처럼 '자체 모델 없이 킬러앱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직면한 상황입니다.

두 번째, 초거대모델 운영사도 나름의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아직까지 명확한 사업모델을 갖추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OpenAI의 경우 ChatGPT를 출시하며 바이럴의 중심에 섰지만 아직까지는 유료화 모델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한 상황입니다. 최근 유료화 모델 베타버전 사용자를 모집중이지만 회사 자체 추산 기준 올해 2,500억 원 수준의 매출을 목표하고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논의된 36조 원 기업가치의 10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OpenAI의 GPT-3와 같은 폐쇄형 모델과 달리 오픈소스를 채택한 이미지 생성 모델 운영사 StabilityAI(스테이블 디퓨전)의 경우 LensaAI가 해당 플랫폼을 채택하면서 대규모 수익을 기대했지만 해당 앱의 바이럴이 한 달 천하로 끝나면서 여전히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에 대해 의문부호가 붙는 상황입니다. 
LensaAI의 매출 추정 - 12월 한 달간 약 500억 원 수익을 벌어들였으나 1월부터 이용자 급감 중
결국 현재까지 돈은 대부분 클라우드 운영사인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그리고 클라우드를 뒷받침하는 연산 능력을 향상시키는 엔비디아와 같은 GPU 기업이 벌어들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엔비디아 매출의 상당 부분은 '생성AI' 연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죠. 초거대모델의 연산 능력이 중요해지면서 인프라 투자를 위한 경쟁 또한 심화되는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 OpenAI 간 과금체계 (자료: Oppenheimer Co.)
OpenAI는 2019년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와 독점 계약을 맺기 전까지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였는데, 당시 연간 지불한 이용료만 천 억 원에 가까웠다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OpenAI의 파트너쉽이 구글의 검색을 위협할 것인지에 대해 대중의 관심이 집중되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단기적으로 노린 것은 클라우드 시장의 만년 2위에서 1위인 아마존의 AWS를 따라잡을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3위인 구글의 추격을 따돌리는 전략이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OpenAI가 앞으로 어떤 전략을 취할 것인지에 따라 AI 스타트업의 운명이 결정된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OpenAI의 계획을 직접 물어보는 것입니다. OpenAI의 수장인 샘 알트만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에 대해 비교적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였습니다.
StrictlyVC Insider - 샘 알트만 인터뷰 (2023년 1월 12일), OpenAI 사업모델에 대한 Q&A
"우리는 OpenAI를 플랫폼 기업이라고 생각하지만 앞으로의 전략은 '플랫폼 + 킬러앱'이 될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ChatGPT처럼) AI를 통해 무엇이 가능한 지 보여주고자 합니다. 만약 AI 분야에 뛰어든 스타트업이라면 OpenAI의 언어 모델은 꾸준히 발전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편이 안전할 것입니다."

"성공적인 AI 스타트업을 만드는 법이 여느 스타트업과 다를 것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받는 제품을 만들고 '기술'이나 '네트워크 효과'를 넘어서는 또다른 해자를 가지는 것이죠. 우리는 OpenAI의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진정한 가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스타트업을 위해 관련 기술을 꾸준히 제공할 예정입니다."
일일 활성 사용자 천 만명 돌파 시점: 인스타그램 355일 vs. ChatGPT 40일 (출처: Brett Winton @wintonARK)
OpenAI의 기술이 혁신적인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정작 OpenAI의 가장 큰 기여는 '대화'라는 방식을 통해 AI 서비스의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는 것입니다. 출시 5일만에 백만 사용자를 넘어섰던 ChatGPT는 이제 출시 40일만에 일일 사용자 천 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례없는 사용자 확보 속도가 다른 스타트업에게는 당분간 또다른 도전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사용자들의 눈높이와 기대수준이 한 층 높아졌기 때문이죠.
OpenAI의 CTO인 그렉 브록만은 "2023년은 2022년 이전의 AI 발전이 얼마나 따분했는지 느끼게 될 한 해"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아마 올해 상반기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탈들은 차세대 OpenAI를 찾기보다는 OpenAI의 다음 제품은 무엇인지, OpenAI가 투자한 스타트업에 어떻게 공동투자를 할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분주할 전망입니다.
금주의 그래픽
8가지 벤처캐피탈리스트 타입
Lightspeed Ventures Partners 출신의 스타 벤처캐피탈리스트이자 현재는 Unusual Ventures를 이끌고 있는 John Vrionis는 벤처캐피탈리스트를 총 12개 타입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실리콘밸리에 존재하는 다양한 벤처캐피탈리스트에 대한 흥미로운 인사이트를 보여주는 포스팅입니다.  

  • VC Type #1 읍소형 - "내 투자를 받아주세요" - 초보 VC의 필승 전략
  • VC Type #2 창업자 - "이미 한 번 해봤어"라는 창업자 출신 VC
  • VC Type #3 CTO형 - '스타트업 = 기술'이라고 믿는 CTO | 엔지니어형 VC
  • VC Type #4 지표형 - "나는 너가 모르는 지표를 꿰고있다" 숫자 중심 커리어 VC 
  • VC Type #5 허슬러 - "투자를 받으시면 A, B, C, D 다 해드릴게요" 발로뛰는 VC
  • VC Type #6 선지자 - 짬밥에서 나오는 인사이트 - "닷컴버블때는 말이야..."
  • VC Type #7 로고헌터 - "우린 유명한 회사에 투자해" - 사무실 벽면을 로고로 채우는 VC
  • VC Type #8 소셜미디어 - "내 페이스북 팔로워가 몇 명인지 아니..." 인플루언서 VC

이번 주 주목한 기사

Stripe, 1년 내 IPO 여부를 결정할 것 (링크)
  • 비상장 핀테크 기업 Stripe이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을 자문사로 선정, 1년 내에 IPO 또는 직원 구주 매입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 2010년 설립된 Stripe는 여전히 기약없는 IPO로 인해 초기 직원들을 중심으로 불만이 누적되는 상황입니다. 미국에서는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주식을 매각하지 않더라도 공정가치를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되는데, 스톡옵션 행사 가능 기간이 발행 후 최대 10년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 또한 Stripe은 직원들의 스톡옵션 관련 세금 납부를 목적으로 2021년 대비 30% 낮은 기업가치에 1 - 2조 원 가량 펀드레이징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성사 여부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Product Hunt, 골든키티어워드 통해 2022년을 대표하는 프로덕트 선정 (링크)
  • 매년 커뮤니티 참가자들의 투표를 통해 명예의 전당에 해당하는 '골든키티어워드'를 진행하는 전세계 최대 프로덕트 개발자 커뮤니티 Product Hunt가 올해도 2022년을 빛낸 프로덕트 선정을 위한 투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모두의 예상대로 2022년의 프로덕트는 'ChatGPT'가 선정되었습니다. 특히 1 - 3위가 모두 AI 관련 프로덕트가 선정되어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였습니다.
  • 참고로 지난 5년 간 골든키티어워드 1위를 차지한 프로덕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2021년 Softr 2.0 (노코드)
    • 2020년 클럽하우스 (오디오 앱)
    • 2019년 에어팟프로 (하드웨어)
    • 2018년 틱톡 (소셜)
    • 2017년 스테이션 (생산성)
세콰이어캐피탈 인디아, 포트폴리오 기업 회계부정 전수조사 (링크)
  • 인도의 자동차 정비 서비스 플랫폼 GoMechanics는 최근 매출 등 회계지표를 조작한 것이 들통나 직원 70%를 내보내고 법정관리 전 자산 매각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 2016년 설립된 GoMechanics는 2021년 타이거글로벌과 세콰이어캐피탈의 주도로 500억 원 이상의 시리즈C 자금을 조달하며 2,500억 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 최근 1년 사이 투자 기업 중 BharatPe, Trell, Zilingo에 이어 네 번째 회계부정이 발생한 세콰이어 인디아는 주니어 직원이 이사회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투자기업 감사 예산도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전 뉴스레터
💥 지난주 인사이트 뉴스
  • 핀테크 - Coatue Management의 '핀테크 다음 10년' 리포트
  • 기후테크 - Net Zero Insights의 '기후테크 2022' 리포트
  • 아세안 - Asia Partners의 '2022 동남아시아 인터넷 트렌드' 리포트

🖥️ '아톰'으로 옮겨가는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10년만에 벤처투자의 헤게모니가 비트에서 아톰으로 이동할지 주목되는 2023년
6개월만에 또다시 기업가치를 올린 스페이스X, 머스크의 꽃놀이패
하드웨어 딥테크 기업이 1,700억 원을 조달한 프리젠테이션
📢 알려드립니다 📢

CapitalEDGE 뉴스레터는 매주 화요일 무료 뉴스레터 WeeklyEDGE, 그리고 매주 목 또는 금요일 유료 뉴스레터 InsightEDGE를 보내드립니다.
  • WeeklyEDGE에서는 주목하고있는 글로벌 자본시장 + 테크기업 관련 뉴스를 '관점'과 '데이터'를 담아 함께 전달합니다.
  • InsightEDGE는 1) 주요 테크 섹터 뉴스 2) 전 세계 벤처 투자 동향 3) 스타트업/벤처펀드 피치덱 분석 또는 4) 해외 PE/VC 소개와 관련한 뉴스레터를 주 1회 또는 2회 보내드립니다.
CapitalEDGE 뉴스레터를 추천해주세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님의 초대링크가 포함된 구독 페이지가 나와요.
해당 링크를 복사해서 초대하고 싶은 분에게 자유롭게 공유해주시면 됩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CapitalEDGE를 만날 수 있습니다. 
CapitalEDGE Labs Limited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602, 6F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