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7.14 
■ 미·중 관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에 이어 재닛 옐런 재무장관의 중국 방문이 성사되었다. 이번 방중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중국 측 파트너인 허리펑 국무원 경제 부총리와 판궁성 인민은행 당서기와 관계를 형성하였다. 둘째, 중국 측이 염려하는 탈동조화(de-coupling)라는 용어 대신 공급망 다양화라는 새로운 용어(diversification)를 통해 향후 미-중 관계의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이는 유럽적 시각을 의미하는 위험 회피(de-risking)와는 다른 의미로 미-중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장기적 목표인 공급망 재편을 의미한다. 끝으로 이번 고위급 회담은 가시적인 성과가 부족했다. 오히려 중국은 새로운 대외관계법 제정을 통해 미국의 경제 제재에 대한 강경 대응을 예고한 바 있다. 또한 미국의 대중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에 대한 보복성 조치로서 갈륨과 게르마늄의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밝혔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에 이어 존 케리 대통령 기후변화 특사가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다. 옐런 장관은 방중 기간 중국의 기후 금융 전문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미-중 간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양국 간 교역 호황과 기후변화 협력의 기회를 강조하며 녹색기후기금(GCF), 기후투자기금(CIF)에 중국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미-중 간의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는 두 국가의 협력이 가능한 분야로 거론된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의 최근 발언과 다가오는 존 케리 대통령 기후변화 특사의 방중이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중국의 국내적 상황은 기후변화 부문에서 미-중의 협력이 쉽지 않을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화석연료에 기반한 중국의 비효율적인 냉난방 시스템은 온실가스 방출의 주범으로 중국 연간 전력 사용의 10%를 차지하지만, 시설 개선 및 변경에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비용 때문에 당장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침체된 중국 경제를 견인하기 위해 중국 당국은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대신 공장을 더 많이 가동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지속가능성
극한 기후 상황이 '뉴노멀'로 자리잡고 있고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이에 대응한 사회적 변화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기후 변화 이슈는 논쟁 거리에 불과할 뿐 정책 입안자들과 유권자들의 우선 순위에서는 밀리고 있다.
The west must recognise its hypocrisy (Financial Times 2023.07.12)
현 기후 위기의 주범인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들을 향한 재정적 지원이 터무니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국제적 협력과 연대 필요를 외치는 것은 위선적이며 국제 평화와 번영을 해치는 일이라는 지적이다.
The Gulf Goes Green (Foreign Affairs 2023.07.10)
최근 걸프만의 주요 산유국들이 청정에너지 분야의 주요 주체로 자리매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는 지난 몇 년 동안 국내적으로는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국가주의적 틀을 모델링하면서 해외로는 환경을 생각하는 선진국과 새로운 에너지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중동 및 그 외 신흥 경제국의 청정에너지에 투자하고 있다. 이들은 점점 더 서구 국가들이 하지 않을 곳에 투자하고 정치적으로 관여할 의향이 있는 만큼 글로벌 에너지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걸프 국가들이 향후 기후 위기로 초래되는 미래의 경제적 불안정성을 완화시킬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디지털 전환의 사회 변화
TSMC, 삼성 등 아시아 최대 반도체 기업들이 자국 시장에서 재생가능 에너지에 대한 접근성이 충분하지 않아 미국이나 유럽의 라이벌 기업과의 탄소 감축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다.
Openness on AI is the way forward for tech (Financial Times 2023.07.11)
메타의 닉 클레그 글로벌 이슈 부문 대표는 투명성이 기술 공포의 해결책이며 특정 소수 기업의 핵심 기술 독점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AI ‘오픈 소스’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OECD는 대규모의 생성형 AI 도입이 임금 하락 및 실직과 윤리 문제를 야기한다며 선진국들이 노동 시장에서의 대격변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