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이지 안 해본 거 없이 다 해봤어.”  팩토리의 홍보라 대표 (이하 보라보라)가 자주 하는 말이다. 그 ‘정말’은 진짜 정말인 게, 팩토리가 처음 만들어진 2002년부터 최근까지를 얼추 더듬어보면 주제, 분야, 장르, 프로그램, 표현, 공간, 심지어 운영방식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작은 예술공간이 앞구르기 옆구르기 하며 만들어낸 촘촘한 시도는 대체 그 안에 무슨 에너지가 일었기에 가능했을까 싶다. 사진과 짧은 글들로 돌아보면 모두가 반짝이는 순간들이지만, 그 안에서 얼마나 많은 이가 머리를 맞대고, 마음을 모으고, 시행착오를 겪고, 울다 웃으며, 밤을 보내고, 포옹했는지는 미처 다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본 인터뷰 시리즈는 팩토리 안팎에서 함께 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지금 우리의 모습이 만들어지기까지, 또한 앞으로 만들어나갈 풍성하고 아름다운 그간 함께 그린 그림이 어떤 모습으로 남을지를 기대하며 기록하는 것이다. 당신과 우리, 지난날과 앞으로의 시간, 그리고 지금 여기 모두로 열려 있기를 바라며. 

첫 번째 인터뷰이는 팩토리의 다정한 이웃, 이탈리안 가정식당 ‘두오모’의 허인 셰프님이다. 두오모에서 식사할 때면 식전 빵을 기다리는 동안 식탁 앞에서 음식을 먹거나 기다리는 사람들의 표정을 보는 것이 나의 식전 리추얼이다. 이곳에서는 모두가 행복하다. 도무지 집에서는 흉내 낼 수 없는 드레싱이 살포시 얹힌 계절 샐러드, 아무리 먹어도 질리지 않는 파스타, 엄마가 처음 해준 이유식은 아마도 이런 질감과 온도였을까 싶은 뇨키를 곧 만날 텐데 어떻게 행복하지 않을 수가. 바깥이 아무리 어수선해도 두오모의 문을 열고 들어온 이는 이 순간만큼은 세상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된다. 스스로는 아주 작은 반경에서만 활동할 수밖에 없는 한정된 에너지를 갖고 있다 하지만, 이곳에서 식사하는 모든 이에게 정성 담은 음식과 따뜻한 지붕과도 같은 미소를 안겨주는 허인 셰프님. 팩토리와 이웃으로 지내는 것은 어떤 것인지 나눈 이야기를 두 회에 걸쳐 전한다.
인터뷰. 이경희
 팩토리 에디션 상품 자체가 좋아서이기도 하지만, 지지하는 마음에서도 각 에디션에 관심을 보태시는 거죠.

그럼요, 지지하는 마음. 그게 지지를 받지 않으면 어떻게 유지해요. 분명 의미를 가지고 하는 일이라는 게 다 너무 보이니까. 만약 상술이 있거나 그걸로 떼돈을 번다면 나까지 보탤 필요가 없지. 서로 다 비슷한 마음 아닐까. 있어 주는 것만으로도 좋은 거니까. 아마 두오모에 오시는 분들도 그런 마음인 것 같아요. ‘내가 가서 밥 한번 먹는 게 힘이 되고, 계속 이어져서 없어지지 않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 식당을 유지한다는 게 진짜 어렵거든요. 사람 손은 많이 필요한데 손님이 앉을 수 있는 자리는 한계가 있잖아요. 손님이 줄을 서야 그 식당이 돈을 버는 거지, 그렇지 않으면 겨우 유지하는 거거든요. 그런 의미로 보면 나도 겨우 유지하는 거고. 근데 또 그게 어디야. 두오모가 이제야 열네 살, 중학교 1학년 정도예요. 혼자 밥을 차려 먹는 정도까지는 아니어도, 엄마가 씻겨주고 입혀주고 하지 않아도 되는 나이. 딱 고 정도로 큰 것 같아요. 돌아보면 두오모 3, 4년 차는 세 살 아이를 키우는 경희 씨 같았을 거야. 막 안절부절못하는 거지. 잠시도 눈을 떼면 안 되는데 표정에 무슨 여유가 있었겠어. 지금은 알아서 잘 돌아가니 내가 잠시 집에 다녀와도 괜찮은 거지. 이건 돈의 여유가 아니라 두오모라는 아이 자체를 믿게 된 거예요. ‘내가 없어도 보라보라가 와서, 경희 씨가 와서 밥 먹어 줄 거야’ 하는 생각. 그런 게 엄청난 버팀목이 되는 거죠.
ⓕ 예전 한 인터뷰에서 본인을 셰프보다는 ‘오너’가 더 맞다고 하셨어요. 그런 걸 보면 셰프님이 두오모를 운영하시지만 더 크게 보면 동네 사람들, 이곳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여기를 함께 꾸려간다고 봐도 전혀 틀린 말은 아니겠어요. 그런 것에 대한 믿음도 있으시고요.

‘나의 두오모’라는 생각을 한 번도 한 적이 없어요. 이게 어떻게 내 것이야. 내 마음대로 해야 내 것인데, 내 맘대로 되는 거 하나도 없거든요.
ⓕ 너무나도 공감 가는 말이에요. 내 마음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혼자 하는 것도 아니니 온전히 내 것이라 할 수 없는 거죠.

이게 자식 키우는 것처럼 내 마음대로 안 돼요. 그리고 손님들이 원하는 것도 있는데 그렇다고 내가 막 다 따라가는 것도 아니지. 부모라면 ‘내 아이가 이렇게 컸으면 좋겠네’ 하는 욕심이 있을 거 아니에요. 그걸 위해 얼마나 많은 장치가 필요하겠어요. 그런데 하란다고 그대로 하지도 않잖아. 두오모도 내가 끌어가고 싶은 방향이 있으니 단골도 그 성향을 좋아해서 오겠죠. 그렇지만 나도 손님에게서 받는 영향이 있을 거야. 손님의 성향과 내 취향이 막 섞이는 거지. 그게 딱 맞아떨어지는 사람이 남는 거겠죠. 요 작은 지붕 아래.
ⓕ 10년 전 다른 인터뷰 속 사진을 보니 안쪽 벽의 색이 지금과 같이 그대로인 거예요. 취향이 변할 수도 있고, 유행이라는 것도 있잖아요. 근데 내부를 전혀 바꾸시지 않은 게 신기했어요. 

그렇죠. 2020년 초에 동선 문제로 이 바(bar)를 없앤 거 말고는 크게 건드리지 않았어요. 그 벽에 올리브레몬 컬러의 페인트칠 보충을 서너 번 한 정도. 처음에는 식당을 많이 해본 것도 아니었기에 원하는 그림이 엄청 많았어요. 하나하나 많이 고심하면서 결정했던 거라, 이곳저곳 모든 것에 이유가 있고요. 그래서 굳이 건드릴 이유가 없던 거죠. 도로에 면한 창문 양쪽에 약간의 각을 넣은 것도 영국에서 본 생선가게를 보고 꼭 하고 싶었던 거야. 그 그림이 아직도 머릿속에 있는데 왜 바꾸겠어요. 주방에 작게 난 창도 주방에 서서 작업하면 딱 눈높이라서 손님으로 누가 왔는지, 오고 있는지, 우리가 만든 음식을 누가 어떻게 먹는지 바로 보이거든요. 그나마 바는 오래 고민해서 작년에 겨우 바꿨어요. 그 바에 앉는 느낌을 너무 좋아했거든요. 누가 어떤 모습으로 거기서 음식을 먹었는지 내가 기억하는 그림들이 생생하게 남아 있으니까.
ⓕ 원래 기획 일을 하셨고, 지금은 이렇게 동네 이탈리안 가정식당을 운영하시는데, 그다음으로 그려지는 자신의 모습이 있으세요?

내가 그런 그림이 머릿속에 많았으면 이렇게 버티지 못했을 거야. 하지만 배움에 대한 욕구가 여전히 많아요. 지금도 다른 선생님이 하는 쿠킹 클래스나 워크숍도 가거든요. 하지만 아직은 다음 단계를 찾지는 못했어요. 그런데도 그려본다면 요리 관련 일일 것 같은데. 식당의 형태는 아닌, 나 아닌 다른 누군가가 음식을 하게끔, 또는 자기를 돌보게끔 도와주는 요리사의 모습을 생각하긴 해요. 아마 코로나를 겪으며 더욱 그런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식당은 어찌 되었든 누군가가 음식을 차려주면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곳, 만드는 수고로움을 겪지 않는 곳이잖아요. 그런데 세상이 점점 이런 식으로 흘러가면 자신을 돌보는 일이 늘어날 텐데, 그게 배달이니 밀키트로는 안 되잖아.
그렇다면 직접 음식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관심이 필요할 텐데 그걸 도와주는 역할은 뭐가 있을까, 하는 생각 자체는 좀 많이 해요. 그래서 ‘찾아가는 요리사’를 해볼까, 했죠. 왜냐하면, 쿠킹 클래스에서 요리를 배울 수도 있지만, 그곳은 재료와 도구가 다 갖춰져 있고 주방 시스템도 완벽해서, 잘 배워놓고도 정작 내 집에 와서는 안 하잖아요. 그런 환경이 아니어도 냄비 하나, 프라이팬 하나로도 할 수 있는 게 분명히 있거든요. ‘각자의 주방에서 자기를 위한 음식 만들기’를 도와주면 너무 좋겠다는 생각을 한 거죠. 작년에 보라보라나 지인분들이 자신의 집에서 요리를 가르쳐 달라곤 했는데, 아마도 그런 모습일까 하는 생각을 해봤지. 파스타 만들 때 구멍 뚫린 냄비가 없으면 어때. 없으면 없는 대로 할 수 있는 걸 찾아보는 거지. 자기를 직접 돌보아야 하는 사람들, 자기를 먹여야 하는 사람들이 분명 있거든요. 동네 친한 사람들 집에 가서 뭔가 같이 만들어 먹는 거 되게 좋아해요. 같이 하면 너무 맛있게 먹어. 서로 생명 유지를 하는 거지. 아주 간단한데 그것조차도 혼자서는 절대 안 해 먹는 경우가 있잖아요. 나도 혼자 있으면 안 먹거든요. 냉장고에 간장밖에 없어요. 가수가 집에서는 절대 노래 안 하고, 개그맨이 집에서 다른 사람 안 웃긴다는데, 나는 가스레인지가 필요 없는 사람이에요.
ⓕ 두오모 메뉴판에 적힌 ‘세상을 덮는 다정한 지붕’이란 문구가 셰프님의 평소 모습이나 태도와 매우 잘 맞는 것 같아요. 예전엔 두오모와 셰프님을 따로 놓고 보았던 것 같은데, 시간이 지날수록, 또 오늘 셰프님 뵙고 대화를 하면 할수록 여기 동네 사람이나 마르셰 사람들, 그리고 여기서 일하시는 분들 하나하나를 조용히 바라봐주고 덮어주시는 마음 말이죠. 그리고 그들에게서 빛이 나는 걸 여럿 보았고요. 그렇다면 셰프님은 자신을 어떻게 챙기고, 또 그렇게 주변을 돌보는 힘을 어디서 얻고 유지하실까 궁금하기도 하거든요. 사실 지붕이 튼튼해야 하잖아요. 계속 수리를 해줘야 하잖아요.

글쎄 (웃음). 그런데 나는 받는 거보다 내가 뭔가를 줄 수 있을 때 정말 기분이 좋아요. 하지만 그럴 수 없는 시기도 있었을 거예요. 마음은 있는데 못 해줄 때. 정신적으로든 물질적으로든 여유가 없을 때. 내가 대단한 걸 해주는 게 아니라, 단지 말 한마디일 수도 있거든요. ‘저 사람에게 꽃을 주면 좋을 거 같아’ 하면 주는 거지. 그러면 그냥 기분이 좀 좋아. 내가 나를 위해서 맛있는 걸 먹어야 하고, 나를 위해 뭔가를 해서 힘을 얻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어쩌면 내가 나를 돌보는 데는 빵점일 수도 있지. 운동도 안 해, 산책도 안 해, 밥도 제대로 안 챙겨 먹고, 집에 뭐 아무것도 없어. 그래도 주변을 돌보는 게 그냥 나를 돌보는 것 같다는 생각은 들어요.
 예전에 셰프님이 두오모와 이 동네가 “골목골목 다정을 붙여야 살 수 있는 곳”이라고 하셨더라고요. 그래서 이렇게 주변을 챙기고 그들의 마음을 하나하나 세심하게 보시는구나 했는데, 다 이유가 있었네요.

그런데 나는 그게 자동으로 되는 것 같아요. ‘그게’ 뭐냐면, 내가 너무 알겠는데 모른 척할 수가 없는 거. 알면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하거나, 마음을 한번 표현해줘야 해요. 내가 아주 극과 극을 살 때가 많아요. 결혼식장은 어떤 이유로 거의 안 가거든요. 근데 장례식장에는 무조건 가. 그게 먼 지방이더라도. 모두에게 다 잘해주지는 못하죠. 근데 아주 작은 동그라미 안에 팩토리가 있고 두오모가 있고 경희 씨가 있고 보라보라가 있는 거지. 내 동그라미는 진짜 작아요. 정말 작고 작기 때문에 그나마 마음을 그렇게 쓸 수 있는 거지. 내가 오지랖이 너무 넓어서 온 데 다 그러면 난 못 살지. 진짜 작아요, 테두리가. (손을 둥글게 모으며) 요고야, 요기.
 그런데 그걸 꾸준히 할 수 있는 게 진짜 힘인 것 같아요.
꾸준히 하려고 동그라미가 작은 거예요. 내가 움직이는 반경조차도 엄청 작거든요. 끽해야 한남동 가는 게 제일 멀리 가는 걸걸요. 내 에너지의 크기를 알기에 이 안에서 지치지 않고 잘하려면 동그라미도 작아야 하고, 만나는 사람도 좀 적어야 하고. 내 에너지를 뺏지 않을 사람을 만나야 하고. 그래서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모임에는 안 나가지. 나갈 수도 있겠지만, 맥락도 모르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서 쓸 에너지는 없어요. 그러다 보니 ‘작은 동그라미 안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걸 하는구나’ 싶은데, 사실은 내가 뭘 한다는 의식도 없이 그냥 이렇게 같이 있는 거야. 작으니까 잘 보이는 거고. 그렇게 애쓰고 살지 않습니다 (웃음). 
 그게 연륜인가 봐요. 
아이고 그러게요. 나이 많이 무었쓰요.

팩토리2 드림
팩토리2
factory2.seoul@gmail.com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15 02-733-4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