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성, KG모빌리티 📉웰바이오텍

💡 이번 주 [ 뉴지's Pick 이슈와 주식 ]

     [급등]  초전도체와 관련 있을까? ‘덕성’

     [상승]  7년만의 흑자 ‘KG모빌리티’

     [급락]  대규모 추가 상장, ‘웰바이오텍’


💡 이번 주 [ 뉴지's 팩터 Pack ]

      ● EV/EBITDA : 기업가치대비, 세전 영업이익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자!

tip) 뉴지레터 활용하기 : 밑줄 글자를 클릭하면 종목 분석으로 연결됩니다.

[급등]  초전도체와 관련 있을까? ‘덕성’

‘합성피혁(인조가죽)’등을 생산하는

‘덕성’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이번 주가 급등은

‘덕성’이 ‘초전도체’ 관련 주로 분류되었기 때문인데요.

 

여기서 [초전도체]란?

  • 직류 전기저항이 없는 물질로,
    자기장을 외부로 밀어내는 마이너스 효과 (초전도 특성)
    를 보이는 물질입니다.
  • ‘고압’ 혹은 ‘저온’에서 ‘초전도 특성’이 나타나는 물질은
    과거에도 종종 확인되었으나, 
  •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효과를 보이는 물질은 증명되지 못했습니다.
  • 최근 국내 연구진이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
    (LK99) 발견을 주장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합성 피혁을 생산하는 덕성이 

초전도체 관련 주로 분류된 이유는

과거 ‘초전도 마그네트’ 사업 경험 때문입니다.

 

  • 2000년 8월, 덕성은
    ‘반도체 웨이퍼 제조용 초전도 마그네트*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는 발표를 진행합니다.
    *초전도 마그네트 = 초전도 전자석(자석)의 일종
  • 이후 2001년 1월
    자체 개발한 ‘초전도 마그네트’를 이용,
    '의료기기_MRI'를 개발한다는 청사진도 발표하는데요.
  • 실제, 2000년 ~ 2006년까지
    ‘초전도 마그네트’ 사업을 적극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다만,
    적극 추진하던 ‘초전도 마그네트 사업’은
    2007년 이후, 사실상 제조를 멈춘 것으로 확인되는데요.

 

정리하자면
과거 (2000년대 초반) ‘초전도 마그네트’ 사업을 한 것은 맞지만,

‘초전도 마그네트(자석의 일종)’는 ‘초전도체’와는
관련성이 크지 않으며,

 

실제

‘초전도 마그네트’ 사업의 성과도 ‘좋지 못했다’

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덕성’과 ‘초전도체’는 

사실상 큰 연관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 실제 회사의 사업 내용과 상관없이,
    주가는 급등하고 있습니다.

 

일부 초전도체 테마주들의 급등 배경이

  • 기업의 사업내용과 큰 차이가 있다는 지적

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초전도체 테마주’ 급등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 최근 5영업일 주가

  • 덕성(004830) / 3,605 (7월 28일 시초가) > 9,690 (8월 3일 종가) / 168.79%
[상승]  7년 만의 흑자 ‘KG모빌리티’

과거 ‘쌍용자동차’로 유명한,

‘KG모빌리티’ 주가가 저점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KG모빌리티의 주가 상승은

눈에 띄게 좋아진 실적 덕분인데요.

 

창사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매출' 2조 원을 돌파하였으며,

영업이익도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매출 약 2조 900억 / 영업이익 282억 원)


KG모빌리티의 실적 개선은

지난 2022년 출시된 신차,

‘토레스’ 덕분인데요.

‘호평받은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내수, 수출 모두에서 좋은 성과를 낸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번 실적 개선은,

판매 가격이 높은, ‘SUV 차량이 견인’

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데요.

 

‘세단형 차량’ 대비 수익성 좋은 ‘SUV 판매’가

지속적으로 좋아진다면,

‘KG모빌리티’의 실적과 주가에 긍정적일 것
이란 분석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 동력인 ‘전기차’ 분야에서,
KG모빌리티의 경쟁력을 의심
하는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 최근 5영업일 주가

[급락]  대규모 추가 상장, ‘웰바이오텍’

식음료 유통, 의약품 제조, 국제 운송

사업을 진행하는

‘웰바이오텍’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웰바이오텍’의 주가 하락은

  • 전환사채(CB)로 인해 발생한 
  • ‘약 1300만 주의 신규 주식’이 ‘추가상장’ 된다는
    소식 때문인데요.

 

여기서 [전환사채]란?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채권으로서,
  • ‘채권 보유자’ 의사에 따라,
    약정된 금액으로 주식 전환*이 가능합니다.
    (*주식 전환은 선택사항)

 

앞서

웰바이오택의 주가는 

  1. ‘리튬 사업’ 진출 선언을 이유로
    2023년 7월 급등했는데요.
  2. 이에 전환사채를 보유한 투자자들이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것을 결정,
  3. 8월 4일 신규 상장이 진행됩니다.
    (현재 상장된 약 7800만 주에 더해, 약 1300만 주 추가상장)

 

‘웰바이오텍의 주가 급락 사례’는

전환사채를 많이 발행한 기업에 투자할 때,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인데요.

 

투자전, 전환사채 발행 규모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 최근 5영업일 주가

‘EV/EBITDA’ 팩터란?

  • 기업가치를 나타내는 EV(Enterprise Value)에서
  • 세전 영업이익을 표시한 (EBITDA)를 나눈 지표인데요.
  • 값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되어있고, 영업현금흐름이 좋다고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기업가치(EV)가 1,000억 인 회사가,

매년 100억 원의 세전 영업이익(EBITDA)을 벌고 있다면,

EV/EBITDA 값은 10이 됩니다.

 

‘EV/EBITDA’ 팩터를 이용한 투자전략을 제작해 보고 싶다면,

뉴지스탁 문호준 대표의 강의를 확인하세요!

⏱ 3분 요약 : ‘EV/EBITDA’ 팩터로 투자 전략 만들기!

1. ‘EV/EBITDA’ 팩터 이해하기

  • 기업가치(EV)에서 세전 영업이익(EBITDA)를 나눈 값입니다.
  • 값이 낮을수록 저평가 + 영업현금흐름이 좋다고 해석합니다.
  • 다만, 다른 산업군의 기업을 EV/EBITA로 동일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ex: 시설투자가 거의 없는 기업 VS 지속적인 시설 투자를 해야하는 기업을 비교)

2. ‘EV/EBITDA’ 팩터를 이용해 샘플 전략 만들기

    ✔️ 매수 종목은?
    • 운용 기간 : 전체 (2007.01~2023.07)

    • 최대 보유 종목 수 : 50종목

    • 리밸런싱 기간 : 1개월

    • 매수 가격 기준 : 전일종가 +5%

    • 매도 가격 기준 : 전일종가 -5%

    ✔️ 매수 조건식은?
    • A : {분기EV/EBITDA} > 0

    ✔️ 매수종목 우선순위

    • {분기EV/EBITDA} / 오름차순

     ✔️ 매도 조건식 설명

    없음 (보유종목을 1개월마다 리밸런싱 하는 투자전략입니다.)
    🍊 구독 링크 공유하기 🍊
    💡 광고/제휴 문의: newsyletter@newsystock.com
    본 정보는 해당종목의 매수/매도신호가 아니며,
    이를 근거로 행해진 거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뉴지레터 @copyright by 뉴지스탁
    newsyletter@newsystock.com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파크원타워1, 520호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