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4.16
지난 9일 전 세계 환경 행동주의자들이 주목할만한 뉴스가 스위스에서 나왔습니다. 스위스 환경단체 '기후 보호를 위한 노인 여성' 소속 회원들이 스위스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유럽인권재판소(ECHR)는 원고 측 일부 승소 판결을 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기후 변화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아 인권을 침해했다는 이들의 주장을 유럽 최고 법원이 인정한 겁니다. 이 판결은 항소할 수 없으며, 스위스 정부는 판결에 따라 이 단체에 8만 유로(약 1억1,760만 원)의 배상금을 3개월 안에 지급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번 판결을 계기로 각국에서 비슷한 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ESG와 관련한 정부의 책임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향후 탄소중립 이슈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 같습니다. 물론, 법원 판결만으로 해결될 일은 아닙니다. 중요한 건 ESG 이행과 관련해 정부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환기했다는 점입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만 해도 우리 정부는 딜레마적 상황에 부닥쳐 있습니다. 유럽이나 미국 등 선진국의 목표치를 그대로 따라 하다가는 가랑이 찢어질 일이 발생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역할은 환경 이슈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제대로 대응하고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15일 자 A2면에 <봉이김선달 지자체…제주 바람 값, 신안 햇빛 연금 징수>라는 제목의 기사가 많은 것을 말해줍니다. 사회, 지배구조 등과 관련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경 문화부가 ‘100년 문화강국으로 가는 길’이라는 타이틀로 게재 중인 기획시리즈 2회는 지자체의 엉터리 공공 미술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16일 자 A1면 <어글리 공공예술에 헛돈 쓰는 지자체> 일독을 권합니다.

지배구조 이슈에 대해서도 정부는 마치 하나의 모범이 존재하는 것처럼 얘기하곤 합니다. 금융위원장과 금융감독원장이 일제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방향은 맞을지 모르겠지만, 왠지 기업을 낙제생 취급하는 것 같아 뒷맛이 개운치 않습니다.  
1. 어글리 공공예술에 헛돈 쓰는 지자체
전국 각지의 공공미술을 둘러싼 논란이 여전합니다. 하지만 세금으로 전국 각지에 걸리는 예술품은 하루 평균 3점씩 늘고 있습니다. 존재조차 몰랐다는 반응이 절반, ‘세금 낭비’란 반응이 나머지 절반입니다. 

정부의 역할이 어디까지 인지, 어떤 방향으로 가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주는 기사입니다. 
이 뉴스레터를 카카오톡으로 공유하세요!
2.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총선 결과 상관없이 추진

22대 총선 이후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향방에 대해서 이런 저런 얘기가 오갑니다. 우선 정부는 기존안 대로 추진하겠단 방침을 확인했는데요, 이와 관련한 이복현 금감원장의 멘트가 있었습니다. 

3.봉이김선달 지자체 
  
지방자치단체들이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에 이익 공유를 강제하는 사례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을 공공사업화해 주민 수용성을 높인다는 명분이지만 ‘봉이 김선달’식 발상에 기초한 기업 재산권 침해라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한 심도 있는 고민을 기사에 담았습니다. 

Advanced Insight for ESG
한경 ESG
COPYRIGHT ⓒ 한국경제신문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