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은 하자센터가 설립된 지 25년이 되는 해입니다.
새로운 창의성을 꿈꾸며
: “괜찮을까? 하고 싶은 일 계속해도”

‘하고 싶은 일 하면서 먹고살자’라는 슬로건의 유효기간
2024년은 하자센터가 설립된 지 25년이 되는 해입니다. 1999년 설립 이후 한동안 하자센터에서는 ‘하고 싶은 일 하면서 먹고 살자’라는 슬로건이 많이 쓰였습니다. ‘어떻게 하고 싶은 일만 하면서 먹고살 수 있냐’며 사회의 관행과 규칙을 강요하는 기성세대와 달리, ‘조금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해도 잘 살 수 있어’라며 서로에게 용기를 건네는 곳이 하자센터였던 것이죠. 그 이면에는 다르게 생각하고 실행하는 ‘창의성’을 가지고 있다면 기존 사회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그때 하자를 다녔던 청소년들 중 몇몇은 한국의 문화산업을 대표하는 작가, 감독, 기획자 등이 되어 멋진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3년 <청소년 참여 브랜딩> 사업에서 진행한 직업인 인터뷰 프로젝트의 제목은 ‘괜찮을까? 하고 싶은 일 계속해도’였습니다. 하자센터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다양한 분야의 직업인들 12명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일과 삶을 구성해나가는 멋진 모습을 담았는데도, 인터뷰집의 제목을 ‘하고 싶은 일 하면서 먹고살자’라고 짓지는 못했습니다. 요즘 청소년들이 가진 마음의 온도와 너무 다를 것 같았기 때문이죠.

생성과 창의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닌 시대의 진로
2020년대를 사는 청소년들은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며 먹고살 수 있을 것이라 느끼고 있을까요? 창의적 작업역량을 기반으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은 이 사회에 얼마나 필요한 걸까요? 생성과 창의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닌 시대, 인간 간 협력이 AI와의 소통보다 어렵게 느껴지는 시대, 대부분의 인간 활동이 지구를 아프게 하는 시대에, 우리의 일과 작업은 어떤 방향과 가치를 찾을 수 있을까요? 어쩌면 지금은 무언가를 만들어낸다는 의미 자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요?
거칠게 표현하자면 하자센터 설립 초기였던 2000년대에는 우리 사회가 이른바 ‘3차 산업혁명’ 시기를 지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의 방향으로 경제 시스템이 재편되고 있었고, 이와 함께 개인의 창의성과 뾰족한 취향이 중시되는 문화사회화가 이뤄지는 중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생산하는 비주류적 콘텐츠나 상품을 좋아해 주는 사람이 아주 많지 않더라도, 시공간을 넘나드는 ‘글로벌-사이버(온라인)’ 공간에서 소비자들을 만날 수 있다면 판매량을 충분히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죠. 혹은 추가 생산 건당 한계비용이 제로에 가까워지는 ‘비물질(디지털) 상품 생산과정’을 통해 ‘적게 벌고 적게 쓰면서 행복해지는 삶’을 그려보기도 했습니다. 어쩌면 꽤나 많은 사람들이 ‘창의적이고 성찰적인 개인/시민들’이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사회는 꽤 멋질 것이라 예상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자센터의 두 번째 10년은 조금 달랐습니다. 2010년 전후, 예상했던 방향으로만 사회가 흘러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서 하자센터는 ‘개인적 창의성’을 넘어서는 ‘사회적 창의성’에 주목하게 됩니다. 창의적 활동을 통해 돈을 벌면서도 사회 전체를 위해 노력하는 ‘사회적기업’을 인큐베이팅하고, 사회적경제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실험해보았습니다. 하자 초기부터 함께한 작업장학교뿐 아니라 로드스꼴라(여행,인문학), 유유자적살롱(음악,관계), 영셰프스쿨(요리), 연금술사 프로젝트(자립,창업), 목화학교(갭이어), 오디세이학교(갭이어,진로탐색) 등 다양한 목적의 대안학교가 그런 사회적 창의성이라는 토양 속에서 자라났고, 공교육 재학생을 포함해 수많은 청소년들이 하자센터를 통해 새로운 배움과 새로운 진로를 만들어갔습니다.

개인적 창의성과 사회적 창의성을 넘나들며 연결하는 ‘제3의 장소’
물론 이런 노력들이 전체 사회의 흐름을 바꾸지는 못했습니다. 지금 우리는 알고리즘이나 빅데이터가 사람의 취향과 마음을 연결해주는 초개인화 시대, 그리고 자신과 의견이 다른 그룹과는 영영 만나지 않기를 바라는 파편화 시대를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간 동안, 우리는 ‘사회라는 것 자체와 거리를 두게’ 되었는지도 모르죠. 아동과 청소년들은 한창 사회화가 진행될 시기에 마스크와 비대면 수업 때문에 소통과 관계역량이 저하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겠지만, 이미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 줄 알았던 기성세대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2019년에 열린 하자 20주년 기념 포럼의 제목은 ‘연대하는 개인들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하여’였는데, 5년이 지나 다시 꺼내 보니 이 문장에 담았던 의미가 조금 더 절실해집니다.
초개인화, 파편화 시대를 위한 ‘좋은 삶’의 모습은 각각의 존재를 존중하며 연대함으로써만 찾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25주년을 맞이하며, 하자센터는 청소년이 새로운 창의성을 경험할 수 있는 ‘제3의 장소’가 되고자 합니다. 성취를 향한 ‘개인적 창의성’과 합의된 가치를 구현하는 ‘사회적 창의성’, 그 둘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스스로 연결하는 창의적 공간 말이지요. ‘각자의 의미 있는 작업’을 응원할 수 있는 존중과 친절함이 살아있는 공간, 올해는 그곳의 문을 활짝 열어볼 테니 한 번쯤은 가벼운 마음으로 놀러 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하자센터 기획부장 아키 드림
하자 커뮤니티
하자 청소년 동아리 '팔랑주머니'의 2023년

하자에서는 매년 3인 이상 청소년 그룹(동아리)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동아리 '팔랑주머니'는 “이불 밖은 위험해!”를 외치는 '눕청(누워있는 청년들)'과 함께 생활 속 놀이의 가능성을 찾고 눕청 네트워크를 꾸리는 문화기획팀입니다. 지난 한 해 동안 하자에서 눕청을 위한 활동을 기획하고, 청년들을 초대하여 함께 새로운 일상을 만들어 봤지요.
팔랑주머니는 "생산성 강박으로 인해 몸과 마음 근육이 약해진 청년들에게는 일경험 제공 이전에, 부담 없이 자유롭게 뛰노는 경험이 필요하다"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그 시공간을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팔랑주머니 멤버 '해초'가 눕청 당사자로서의 경험을 돌아봤습니다.
미래진로 작업장
"실패와 재발명" From. 하자글방

하자글방은 함께 읽고 쓰고 합평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발견해 가는 청소년 글쓰기 커뮤니티입니다. 2023년 봄/가을 진행된 정규 과정 이후 현재 2개의 후속모임이 진행 중입니다. 2024년 하자마을통신에서는 하자글방 후속모임에 참여하는 죽돌(청소년)들의 글을 매월 전할 예정입니다. 이달의 글감은 "실패와 재발명"입니다.

하자의 세상읽기
이 달의 뉴스 큐레이션


하자의 내부 메신저에는 News Curation이라는 채널이 있습니다. 업무와 관련된 기사, 콘텐츠, 리서치 자료, 관심사를 공유하는 채널인데요. 시대 변화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에서부터 지금 10대들에게 핫한 트렌드에 이르기까지, 청소년의 삶과 관련된 유용한 자료가 차곡차곡 쌓이고 있어요. 그 중 구독자 여러분과 꼭 함께 읽고 싶은 뉴스나 하자가 의미있게 본 뉴스를 골라 <하자의 세상읽기>로 엮어 보내드립니다.
2024년 새해 뉴스는 일본의 메타버스 학교 개교 소식, 대구의 '안심마을', 글쓰기 커뮤니티 관련 링크가 눈에 띕니다. 각각 다른 주제의 뉴스들이지만 요약한다면 '미래진로의 관점에서 청소년에게 필요한 커뮤니티는 어떤 모습일까?'라고 질문할 수 있겠습니다.


🕊 하자 이야기를 같이 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구독 링크를 전달해주세요.
하자마을통신 이번 호를 공유하고 싶으시다면,
이 링크를 전달하시면 됩니다 😉
하자센터(시립청소년미래진로센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신로 200
media@haja.or.kr | TEL 070-8871-3940(기획3팀)
-
본 메일은 하자와 만남이 있었던 분들께 발송됩니다.
스팸함에 빠지지 않고 안전히 도착하기 위해
media@haja.or.kr을 주소록에 추가해주세요. 
하자마을통신을 더 이상 받고싶지 않으시다면
구독취소 Unsubscribe를 눌러주세요.